타운뉴스부동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타운뉴스부동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026) N
    • 부동산뉴스 (810) N
    • 군포주거개선지원센터 (132)
    •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 (88)
    • 과천주암기업형임대주택공급촉진지구 (56)
    • 재개발,재건축 (322)
    • 지역주택조합 (26)
    • 투자처를찾습니다 (21)
    • 건축현장에 투자하기 (29)
    • 물류단지 (54)
    • 의왕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 (26)
    • 산업용부동산 (70)
    • 도시계획 (269)
    • 주거용부동산 (217)
    • 상업용부동산 (51)
    • 경매 (14)
    • 전원주택 (24)
    • 춘천 (6)
    • 부동산컬럼 (31)
    • 하는일 (6)
    • 부동산자산관리 (104)
    • 부동산마케팅 노하우 (38)
    • 디벨로퍼의세계 (18)
    • 메디컬빌딩 건축과분양 (5)
    • 건설사와 언론사 (1)
    • 김용현의다른블로그 (1)

검색 레이어

타운뉴스부동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동산컬럼

  •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재건축 열풍에서 아파트 민주주의까지, 인류학자의 아파트 탐사기) 정헌목

    2025.02.13 by 알린다

  • 전문가 말하는 좋은집이란?

    2022.10.22 by 알린다

  • 엄정숙 부동산전문 변호사 "권리금 소송 하려면 3가지 확인하라“

    2022.01.18 by 알린다

  • 서울 집값 상승은 대세다-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 원인 3가지

    2021.12.21 by 알린다

  • [노가다 칸타빌레] ‘가다’ 없는 청년의 ‘간지’ 폭발 노가다 판 이야기

    2021.09.21 by 알린다

  • "노무현-문재인 부동산 실패 공통 원인은 김수현"[대선주자에게 듣는다] 이광재 민주당 의원... "이인영 장관 크게 활약하는 시기 곧 온다"

    2021.06.14 by 알린다

  • 디벨로퍼의세계. 평생 물려받은 땅에 한 단지만 시행한 아들은 행복할까?

    2021.04.02 by 알린다

  • 건축비 올랐는데 집값이 잡힐까?

    2021.02.24 by 알린다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재건축 열풍에서 아파트 민주주의까지, 인류학자의 아파트 탐사기) 정헌목

책을 펴내며: 아파트 단지에서 함께 살아간다는 것1장 브랜드 아파트 단지의 인류학모더니즘 건축의 이상과 아파트 | 아파트에 대한 열광과 비판 | 부동산 하락기와 아파트에서의 ‘삶’ | 브랜드 아파트 단지의 인류학자2장 마포아파트에서 타워팰리스까지한국 아파트의 역사: ‘아파트 단지’라는 표준의 탄생 | 모델의 형성: 근린주구와 모델하우스 | 아파트 단지 확산의 정치적 배경 | ‘신중산층’의 형성 | 브랜드 아파트 시대 | 성일 노블하이츠의 경관3장 입주 이전: 재건축 사업 열풍과 아파트의 가치다양한 욕망의 경합과 충돌 | 2000년대 초 아파트 시장과 재건축 열풍 | 성일주공아파트 재건축의 동학 | 재건축조합 비리와 입주자협의회 활동4장 입주 이후: 아파트의 또 다른 가치와 공동체성 증진편안하고 살기 좋은..

부동산컬럼 2025. 2. 13. 11:18

전문가 말하는 좋은집이란?

https://blog.toss.im/article/tinyquestions-house-1?utm_source=facebook&utm_medium=post&utm_campaign=tinyquestions&fbclid=IwAR3BmtKl2vs1EL07cM3HYO4wlxUZG8EwU0KCfPLrx2bf8UGevNs3VQgUEaY

부동산컬럼 2022. 10. 22. 12:12

엄정숙 부동산전문 변호사 "권리금 소송 하려면 3가지 확인하라“

▲사업자등록 대상 건물 ▲권리금 제외 사유 ▲권리금 회수기회 방해 여부, 확인해야 “상가 임대차계약 만료일이 다가와 새로운 세입자를 구해 권리금을 받으려 했습니다. 그런데 건물주의 방해로 권리금 거래가 불가능해졌습니다. 권리금소송을 하려고 하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권리금을 두고 세입자와 건물주 간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건물주로부터 권리금회수기회를 방해받을 때 세입자는 권리금소송을 생각해 보지만 법률지식이 없어 이마저도 쉽지 않다. 17일 엄정숙 부동산 전문변호사는“세입자의 권리금은 상가임대차보호법(이하 상임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다”며 “권리금 회수 기회를 방해받아 소송을 준비할 때는 소송 3가지 조건에 충족하는지 확인해 봐야한다”고 조언했다. 권리금소송이란 건물주인의 방..

부동산컬럼 2022. 1. 18. 08:59

서울 집값 상승은 대세다-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 원인 3가지

2020년 이후 대한민국 최대의 화제는 바로 부동산 지난 2020년 해외 생활 중 갑작스럽게 팬데믹이 발생했다. 의도치 않게 귀국길에 올라 집에 와서 TV를 켜보니 온통 부동산 이야기 뿐이었다. 혼인 적령기인 주변 친구들을 만나면 하나같이 부동산에 발목이 잡혀 결혼하기 어렵다는 말이 대세를 이루었다. 도대체 수도권 부동산 가격 폭등의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해 나름대로 연구를 해봤다. 그리고 결론을 냈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 폭등은 초대형 추세로 아주 오랫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 폭등의 원인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이유를 정리해보면 크게 3가지가 있다. 이유 1. 사실상 공짜 대출 초딩 때 코 묻은 돈을 통장에 저금했다. 어느 날 통장을 열어보니 이자가 들어와 있었다. 그런데 ..

부동산컬럼 2021. 12. 21. 16:42

[노가다 칸타빌레] ‘가다’ 없는 청년의 ‘간지’ 폭발 노가다 판 이야기

프롤로그 _직업에 귀천은 없다면서 1부 노가다 입문: 나는 노가다꾼이다 노가다꾼이 된 이유 _서른둘, 이혼이란 걸 했다 노가다와 근로자의 뜻 _허드렛일이나 하는 사람? 인력사무소 ① _인생의 막장, 혹은 벼랑 끝 인력사무소 ② _칭기즈칸의 후예와 뜬금없는 동포애 인력사무소 ③ _현대판 장돌뱅이 기술 배우라는 말 _야! 쓸데없는 짓 하지 말고, 기술 배워 노가다 입문 ① _저~ 가서, 투바이 못 좀 죽여라 노가다 입문 ② _노가다 초짜를 위한 패션 가이드 노가다 입문 ③ _10분 안에 건축 전문가로 만들어드립니다 직영 _개. 잡. 부. 타설 _공구리 터진 날 노가다 판에서 만난 갑질 _지랄도 일관적이어야지 멋있는 거야 내장목수와 용접공 _나무는 양陽이요, 철은 음陰이니 노가다 판의 간섭 _서로의 삶에 짐으..

부동산컬럼 2021. 9. 21. 11:47

"노무현-문재인 부동산 실패 공통 원인은 김수현"[대선주자에게 듣는다] 이광재 민주당 의원... "이인영 장관 크게 활약하는 시기 곧 온다"

"주택 통한 자산형성 욕망을 너무 작게 보고 무시했다" -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는 투기를 근절하고 부동산 가격을 잡겠다며 의욕적으로 정책을 추진했지만, 모두 부동산 가격 급등이라는 정책실패를 맛봤다. 공통 원인이 있을 것 같은데. "공통 원인은 김수현(문재인 정부 전 청와대 정책실장, 노무현 정부 당시 국민경제비서관)이란 분이 있고, 이 분이 노무현 정부 때와 같은 정책을 썼다는 거다. 이번 국회에서 주택 공급 논쟁을 치열하게 해봤다. 저는 집값이 오를 거라고, 정부는 안 오른다, 심지어 내릴 거라고 했다. 저는 공급이 필요하다고, 정부는 공급해도 투기세력이 다 가져간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깨달았다. 주택보급률의 허상을 깨야 한다. '주택보급률 104%' 숫자를 보면 상황이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

부동산컬럼 2021. 6. 14. 08:34

디벨로퍼의세계. 평생 물려받은 땅에 한 단지만 시행한 아들은 행복할까?

시행을 하려던 생각은 없었다. 대학 다닐 무렵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부친은 물려받은 땅에 아파트를 지으시겠다고 추진하시던 중이었다. 얼떨결에 시행을 하게된 아들은 모든걸 더듬더듬 배워가야했다. IMF 직후라 시공사 잡기도 어려웠다. 업무대행사도 시원치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사업성이 없다고 판정이 내려진 입지여서 도와주겠다고 나서는 이가 없었다. 지주택도 해보고 별걸다 해봤다. 주상복합으로 방향을 바꾸고 아래 상가에 대형마트를 유치하고... 그 사이에 정치권의 도움을 받을까 싶어서 지구당사무실에 청년부장이 되어 심부름꾼 노릇도 했다. 미분양을 터느라 고생고생 다했다. 그렇게 세월이 25년이 흘렀다. 50 초반에 염색 않고는 버틸수 없을만큼 머리가 하얗게 센 그를 보면 나는 "그의 인생은 뭘까?" 싶다...

부동산컬럼 2021. 4. 2. 18:59

건축비 올랐는데 집값이 잡힐까?

지난 해 초 건축을 계획했다가 코로나로 미뤘었다. 올해 안에 코로나가 물러난다고 생각하면 올해 초 착공하면 수요예측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지난 해 잡아놓았던 수지표를 모두 버리고 다시 잡아야 했다. 시공비, 설계비, 자재비 모두 올라 공사비만 50~70%는 더 잡아야 한다. 대단지 아파트 시공비가 450만원으로는 어림도 없다. 조합에 넣는 견적도 750 이상이다. 지난해 말 준공한 동탄 8층 상가 건축비가 600이 들었다는 업자도 만났다. 빌라건축도 700이 들어갔단다. 안전시공이 화두가 되면서 상주감리에 안전관리 1인 상주비용이 더 들어갔다. 설계도 5,6만원 하던 것이 최저 7만원이고 9만원도 일반적인 가격이 됐다. 임대주택 분양전환에서 원가제공 약속은 물건너가고 시세 70% 공급이 대세가..

부동산컬럼 2021. 2. 24. 11: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타운뉴스부동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