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초 건축을 계획했다가 코로나로 미뤘었다. 올해 안에 코로나가 물러난다고 생각하면 올해 초 착공하면 수요예측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지난 해 잡아놓았던 수지표를 모두 버리고 다시 잡아야 했다. 시공비, 설계비, 자재비 모두 올라 공사비만 50~70%는 더 잡아야 한다.
대단지 아파트 시공비가 450만원으로는 어림도 없다. 조합에 넣는 견적도 750 이상이다. 지난해 말 준공한 동탄 8층 상가 건축비가 600이 들었다는 업자도 만났다. 빌라건축도 700이 들어갔단다.
안전시공이 화두가 되면서 상주감리에 안전관리 1인 상주비용이 더 들어갔다.
설계도 5,6만원 하던 것이 최저 7만원이고 9만원도 일반적인 가격이 됐다.
임대주택 분양전환에서 원가제공 약속은 물건너가고 시세 70% 공급이 대세가 됐다.
안양지역에서 최근분양 아파트 분양가가 1900만원대를 넘기는 것이 일상이 됐다.
청약을 포기하고 기존 아파트를 산다 해도 오를수 밖에 없다는 계산이 나온다. 여기에 지난 해 오른 전세가는 다시 매매가를 밀어올릴 것이니 집값이 내려갈 여지가 없다.
'부동산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현-문재인 부동산 실패 공통 원인은 김수현"[대선주자에게 듣는다] 이광재 민주당 의원... "이인영 장관 크게 활약하는 시기 곧 온다" (0) | 2021.06.14 |
---|---|
디벨로퍼의세계. 평생 물려받은 땅에 한 단지만 시행한 아들은 행복할까? (0) | 2021.04.02 |
[나이60,연둣빛 자연에 내집을 짓다] 평당200대 1억으로 철콘집짓기 2003년 (0) | 2021.02.17 |
건물주 200만명 시대…자영업자 30%가 세받고 산다 (0) | 2020.11.05 |
오피스텔 투자, 복층 노렸다간 본전도 못 건질 수도 (0) | 2020.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