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꼬마빌딩 건축 바이블] P2P 금융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부동산자산관리

by 알린다 2021. 12. 21. 11:11

본문

소형 주택 부동산개발 사업수지분석을 누구나 쉽고 알차게 풀어쓴 백과사전

 

2018년 출간임을 감안

 

[ 제 1 장 ] 소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을 시작하자
1. 익숙한 것들과 멀어져라
2. 우리는 모두 사업가로 태어났다
3. 생산자(=자본가)가 되어야 한다
4. 부동산 개발사업은 인플레이션과 저금리를 사업 파트너로 만든다
5. 부의 추월차선으로 가는 부동산 개발사업
6. 부동산 개발사업으로 진정한 경제적 자유가 가능하다
7. 미분양에 대한 두려움을 버려라
8. 서울시의 뉴타운은 해제되고, 자율주택 정비사업이 뜬다
9. 동업도 고려해보자
10. 시간이 없는 사람들은 주말을 적극 활용하라

[ 제 2 장 ] 부동산 투자의 꽃, 빌라 개발 기획하기
1. 소규모주택 개발 차근차근 준비하기
2. 도시지역, 비도시지역에서 토지 매입하기
3. 분양가격, 데이터와 현장에 답이 있다
4. 시작 전에 자금을 마련하자
5. 나 홀로 기획설계부터 설계사 선정까지
1) 나홀로 가설계해보기
2) 나에게 꼭 맞는 설계사 선정하기
6. 소규모 시공사 선정 노하우

[ 제 3 장 ] 성공의 열쇠는 사업수지 분석에 달려 있다
1. 사업수지 분석이 生死(생사)를 결정한다
2. 사업수지 분석의 기승전결

   http://www.chinchind.com/ 하우빌드, 러브하우스

   빌라설계비 8만 감리비 6만/평

   신탁수수료 매출 4%

3. 사업개요는 설계개요를 알면 간단하다
4. 분양수입과 부가가치세액
5. 지출의 80%는 토지비, 공사비로 채워진다
6. 판매비, 제세공과금 등 지출의 5%
7. 기타비용과 금융비 15%, 사업이익

[ 제 4 장 ] 소규모 부동산 개발은 P2P금융을 적극 활용하자
1. 부동산 PF 금융 개관
2. 무엇보다 레버리지를 극대화하자!(저축은행 vs P2P금융 vs 캐피탈)
3. 소규모 건축을 위해 돈이 얼마나 있어야 할까?
4. P2P금융과 약정 시 눈여겨 봐야 할 포인트

[ 제 5 장 ] 이제는 실전이다. 건물을 지어보자
1. 건설공사, 이 정도는 알고 시작하자
2. 시공사가 제시하는 공사비, 믿어도 되나?
3. 지하공사의 득과 실

  3m 내려가는 18m램프

  지질조사
4. 설계 변경이 사람 잡네
5. 건물의 뼈대를 세우다
6. 건물에 옷을 입히다
7. 건물에 생명을 불어넣다
8. 건물아, 너 어디 아프니?
9. 감리사의 최종 점검을 통해 사용승인에 대비하자!
10. 알쏭달쏭한 행정처리

 

 

CCD - 친친디

토지구매부터 사업기획, 설계, 세무, 금융, 시공, 사후관리까지 주택 건축에 관한 모든 업무를 담당합니다.

www.chinchind.com

 

 

 

CCD - 친친디

토지구매부터 사업기획, 설계, 세무, 금융, 시공, 사후관리까지 주택 건축에 관한 모든 업무를 담당합니다.

www.chinchind.com

 

 

관련글 더보기